정보 공유/맞춤법 공부하기

[맞춤법] 한국어 조사 '은/는/이/가' 의 차이와 사용법

데일리루 2025. 6. 3. 17:59
반응형

한국어를 배우다 보면 가장 헷갈리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주격 조사인 ‘이/가’와 보조사인 ‘은/는’입니다.

이 네 글자만 봐도 머리가 아픈 분들이 많죠.

하지만 이들의 역할을 정확히 이해하면 문장의 뉘앙스를 훨씬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‘은/는’과 ‘이/가’의 차이, 그리고 언제 어떻게 써야 자연스러운지를 예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

1. 기본 개념

- ‘이/가’는 주어를 표시하는 주격 조사

  • 문장에서 누가 무엇을 했는지를 나타냅니다.
  • 새로운 정보를 소개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.

예:

  • 고양이 의자 위에 있어요.
    → '고양이'가 지금 처음 언급되는 대상입니다.

- ‘은/는’은 주제를 나타내는 보조사

  • 문장의 **화제(Topic)**를 나타냅니다.
  • 비교, 대조, 강조할 때 자주 쓰입니다.

예:

  • 고양이 의자 위에 있어요.
    → ‘고양이’는 이미 알고 있는 대상이고, 지금은 위치를 말하고 있는 겁니다.

 

2. 실제 예시로 비교해보기

- 정보 소개 vs. 정보 대조

  • 철수 밥을 먹었어요.
    → '밥을 먹은 사람'이 철수임을 강조 (새로운 정보)
  • 철수 밥을 먹었어요.
    → 철수에 대해 말하고 있는 중. 이후 다른 비교나 추가 설명이 이어질 수 있음.

예: 철수 밥을 먹었어요. 영희 안 먹었어요.
→ 대조를 위한 용도로 사용됨.

- 강조점의 차이

  • 친구 왔어요.
    → ‘누가 왔는지’에 초점
  • 친구 왔어요.
    → ‘다른 사람은 안 왔고 친구만 왔다’는 뉘앙스가 있음

 

3. 형태 변화 규칙

- ‘이/가’

  • 받침이 있으면 , 없으면
    예: 책, 바다

- ‘은/는’

  • 받침이 있으면 , 없으면
    예: 학생, 엄마

 

출처: 네이버 국어사전: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

4. 간단 요약

조사기능언제 사용하나요?
이/가 주격 조사 새로운 정보, ‘누가?’를 강조할 때
은/는 보조사 (주제) 이미 알려진 정보, 대조/비교/주제를 이끌 때

 

 
 

‘은/는’과 ‘이/가’는 비슷해 보이지만, 말하는 사람의 의도와 문맥에 따라 큰 의미 차이를 만들어냅니다.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지만, 예문을 많이 접하고 직접 말해보면서 익숙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 

https://link.coupang.com/a/c2NyMq

 

리빙플레이어 스탠딩 헤어드라이어 LSHD24 1700W - 드라이어 | 쿠팡

현재 별점 4.9점, 리뷰 162개를 가진 리빙플레이어 스탠딩 헤어드라이어 LSHD24 1700W!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드라이어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.

www.coupang.com

 

 

 

 

 

2025.05.28 - [정보 공유/맞춤법 공부하기] - [맞춤법] 한국어 문법 " -이에요 / -예요 "

 

[맞춤법] 한국어 문법 " -이에요 / -예요 "

오늘은 한국어에서 일상적으로 아주 자주 쓰이는 표현, " -이에요 / -예요 " 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.이 표현은 **존댓말(정중한 말)**을 할 때 꼭 필요한 문법이에요.그럼 자세히 알아볼까요? ‘-

daily-ru.tistory.com

 

 

 

반응형